666공포증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계13:18] 지혜가 여기 있으니 총명한 자는 그 짐승의 수를 세어
[계13:18] 지혜가 여기 있으니 총명한 자는 그 짐승의 수를 세어 보라 그것은 사람의 수니 그의 수는 육백육십육이니라성경에서 안 좋은 내용에 들어가는 육백육십육이라는 수 말인데요 그래서 이 수를 두려워하는 666공포증이라는 것도 있는데요. 이 666공포증을 극복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성경에 이렇게 대놓고 안 좋은 내용으로 등장을 하는 수인데 일상생활을 하면서 666이라는 숫자를 볼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아도 확률적으로 볼 수도 있는 일인데 이러한 숫자를 마주하게 되는 일이 두렵다면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생기게 될 것 같은데 이러한 666공포증을 확실하게 극복하는 방법이 있을까요?물론 성경에 육백육십육이라는 내용이 요한계시록에만 등장하는 내용은 아니고 다른 성경에도 들어가지만[왕상10:14] 솔로몬의 세입금의 무게가 금 육백육십육 달란트요[대하9:13] 솔로몬의 세입금의 무게가 금 육백육십육 달란트요이런 내용도 있고 근데 솔로몬 왕은 유명한 왕이기는 하지만 말년에 대한 평가가 그리 좋지 못하죠.[스2:13] 아도니감 자손이 육백육십육 명이요이런 내용도 있는데 일반적인 내용이잖아요. 요한계시록에 있는 내용은 나쁜 내용인데.근데 개인적인 생각은 육백육십육이라는 수도 결국 하나님이 만들었을 것 아니에요? 근데 그런 수를 안 좋게 봐도 되나 싶고 실제로 요한계시록 내용이 아니더라도 성경에 그 수가 등장을 하니까요. 필요한 곳에 쓰여서.요한계시록이 묵시문학이라서 그 육백육십육이라는 수로 무언가를 표현하려고 했을 것이라는 글도 봤는데 사도 요한도 그 수를 필요한 곳에 이용을 한 것이지 그 수 자체가 나쁜 수가 아닐 수도 있는 것이잖아요.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계시록에서 나쁜 내용에 쓰여진 수라서 우연히라도 그 수를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면 기분이 나쁘기는 해요.참. 하나님은 만유를 다스린다고 하신 것 같은데 왜 모든 것에서 형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육백육십육이라는 숫자에 대하여 요한계시록에 그런 내용이 있어서 666공포증이라는 것까지도 있게 만드는 것일까요?그렇게 육백육십육이라는 수를 요한계시록에서 안 좋게 써놓아서 그 수에 대하여 공포증이 생길 정도면 그 수가 일상생활에서 볼 수 없게 해야지 또 그런 것도 아니잖아요.왜 이렇게 한정적인지 모르겠어요. 만유를 다스린다고 하면서. 겨우 이런 내용도 통제를 못하는데 아니면 육백육십육이라는 수가 요한계시록에서 안 좋은 내용에 쓰였지만 거기서 그렇게 쓰인 것이지 실제로는 안 좋은 숫자는 아니고 일반적인 수라고 생각해도 되는 것일까요?하나님이 만유를 다스려서 이 세상 일에 불공정한 일이 없었으면 좋겠어요. 말 그대로 만유를 다스린다면 그런 일이 세상에 없어야죠. 속 시원하게 하나님이 말로 설명을 해줬으면 좋겠는데 성경에 보면 동물이 말을 하게도 하는데 그리고 인간도 인간에게 말을 하는데 왜 전지전능하다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말 하는 경우가 성경에 나오는 경우 같은 것들을 제외하면 없을까요? 그냥 말로 666이라는 수에 대하여 공포증을 가지고 있구나 그건 요한계시록에서 안 좋은 내용에 쓰였어도 그 수 자체는 나쁜 게 아니니까 신경쓰지 말라고 한다든가 알려주고 싶은 게 있으면 인간이 확실하게 알아먹을 수 있게 말로 알려주든가. 인간도 인간에게 할 수 있는 것을 왜 전지전능하다는 신이 그걸 안 하는 것일까요? 그러면서 믿으라고 하는 것은 너무 한 처사가 아닌지요?
계시록에 너무 의미를 두지 마세요. 정경을 정할 때 계시록은 논란이 가장 많았던 책입니다. 즉 정경으로 정하는데 계시록을 반대한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가장 마지막으로 정경에 편입되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계시록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
또한 숫자에 너무 의미를 두는 것은 미신적인 생각입니다. 모든 수는 기본 수인 1에서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더해서 이루어졌습니다. 그 구성 요소는 모두 1입니다. 어떤 1이 더 의미 있고, 어떤 1이 더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나라마다 풍습이 있어서 좋아하는 수와 싫어하는 수가 있지요. 모두 관념이고 미신적인 생각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사람은 3을 좋아하고 4를 싫어합니다. 4라는 숫자의 발음이 死(사)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야구에서는 4번 타자가 가장 중요하므로 4를 소중히 여기는 경향이 있지요.
서양에서는 7을 좋아합니다. 조로아스터교에서 유래한 7천사와 관련 있기 때문입니다. 조로아스터교의 천사 사상이 유대교와 기독교에 영향을 주어 서양 사람들이 7을 행운의 숫자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대신에 13을 싫어하고 말씀하신 666을 싫어하는데, 모두 미신적인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8을 부의 상징으로 보고 좋아하고 9를 영원의 의미로 좋아하고, 6을 일이 잘 풀린다(流류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는 뜻으로 좋아합니다. 666은 더 좋아하지요.
인도에서는 12를 완벽한 수로 보고 13을 완벽을 파괴하는 수로 보아 싫어한다고 해요. 9도 좋아하고요.
생산자는 12를 좋아하기도 한다고 해요. 왜냐하면 12개를 한묶음으로 하면 잘 팔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12는 2명이 나누어도 나머지가 없고, 3명이 나누어도 나머지가 없으며 4명이 나누어도 나머지가 없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나누는 데 편리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