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뭔 기준이여야 세금 신고해야하나요? 해외 중고 명품 달에 몇개 사야 신고할 필요없을까요
해외 중고 명품 달에 몇개 사야 신고할 필요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해외 중고 명품 구매에 대한 세금 신고는 **'구매 개수'가 아닌 '총 구매 금액'과 '구매 목적'**을 기준으로 합니다.
세금 신고 기준
해외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국내로 반입할 경우, 개인이 사용할 목적으로 미화 150달러(미국 발송 시 200달러)를 초과하면 관세와 부가가치세가 부과됩니다.
면세 기준: 총 구매 금액이 미화 150달러(미국 발송 시 200달러)를 넘지 않으면 세금 신고 의무가 없으며, 세금도 부과되지 않습니다.
판매 목적: 만약 이 물건들을 판매할 목적으로 반입한다면, 개인이 사용할 목적의 면세 기준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상업적인 수입으로 간주되어 물품 금액과 관계없이 정식 수입 신고 절차를 거쳐야 하며,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여러 개를 나눠서 구매하는 경우
여러 개의 물건을 구매하더라도, 하나의 운송장(B/L)으로 들어오거나, 동일한 날짜에 여러 운송장으로 들어올 경우 합산 과세될 수 있습니다. 여러 건을 면세 한도에 맞춰 구매했더라도, 세관에서 이를 합산하여 과세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한 달에 몇 개를 구매하느냐보다, 구매할 때마다 총 금액이 미화 150달러(미국 발송 시 200달러)를 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판매 목적이 아닌 순수한 개인 사용 목적이어야 세금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