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일(무대미술, 건축)vs돈 많이 버는 일(메디컬) 학과 선택과 진로 선택에 고민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저는 현재 건축쪽으로 생기부를
학과 선택과 진로 선택에 고민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저는 현재 건축쪽으로 생기부를 채워서 건축학과 학종을 생각하고 있고 내신이 1점대 초반으로 좋아 메디컬 교과도 생각해보고 있는데 제 적성은 무대미술이라는 생각이 듭니다뮤지컬이나 뮤비, 드라마나 영화 세트장을 꾸미는 일이 재미있어 보입니다 또 건축도 사그라다 파밀리아나 이슬람 사원같은 화려한 건축물에 관심이 있고 그런 건축물을 설계하고 싶습니다 처음에는 공부를 잘 하기도 하고 미적 감각도 적당히 있으니 건축학과를 가려고 했으나 경기 침체로 건축학과의 전망은 많이 안 좋다, 돈을 못 번다는 부정적인 말들만 너무 많고 건축학과를 간다고 해도 제가 원하는 화려하고 웅장한 건축물이 아닌 건축주가 원하는 정형화된 아파트, 건물들만 설계하게 될 것 같아 걱정도 많습니다 그래서 학부에 진학한 후 돈을 더 벌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면 건축공학과를 선택할까 생각해보았지만 건축공학에는 흥미가 전혀 없고 돈을 벌거였으면 메디컬이나 인기공대를 진학하는 것이 훨씬 나은 선택이지 않나 생각도 듭니다 무대미술에 대해 찾아보니 무대미술과가 있는데 제 성적으로 가기에는 너무 아까운 대학들이고, 한예종이 유명한 것 같은데 아마 그곳에 다니는 친구들은 그쪽으로 특화된 친구들일텐데,막상 무대미술을 했을 때 제가 엄청난 재능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공부라는 경쟁력이 없어지니 그 길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무리 흥미가 있다해도 계속해서 실패하고 돈을 못 벌면 좋아하던 일도 싫어지니까요 마지막으로 메디컬, 혹은 전문직을 생각하자니 결국 답은 무지성 메디컬인걸까 씁쓸해집니다.... 또래에 비해 진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고 그래도 원하는 일을 하자!라는 마음으로 건축으로 진로를 잡은건데 결국 메디컬로 돌아오니 왜 1학년때부터 생기부를 그쪽으로 쓰지 않아서 학종을 쓰지 못할까 후회도 됩니다 또 의대 증원이나 대형 드러그스토어같이 변수들에 대한 고민을 하다보면 돈만 보고 메디컬을 갔다 돈도 못 벌면 어떡하지라는 걱정도 듭니다 전망이라는 게 건축학과도 경기가 좋을 때 한창 인기학과였다 지금은 가장 낮은 학과가 되었듯이 항상 바뀌기 마련이잖아요ㅠ 이건 중요하진 않긴한데 메디컬을 가게 되면 아마 지방으로 내려가야할텐데 남들은 스카이 가서 대학가 생활할 때 저 혼자 공부만 하면 조금 슬플 것도 같아요ㅋㅋㅠㅠ 이건 너무 간 건가 싶긴한데 우리나라가 저출산으로 인구 감소가 너무 심각한데 이민을 가야하나라는 생각도 들어요.... 수의대를 가서 미국에 이민을 가면 억대로 번다는 얘기가 있더라구요 건축도 유학은 필수다? 이런 얘기하는 것도 봤구요 사실 이쯤되면 한탄인 것 같아요...ㅠㅠ 어떤 학과, 직업을 가졌을 때 탄탄대로가 보장된다면 좋을 거 같은데 이제는 그런 시대가 아니고 모든 게 다 너무 불투명해서 불안해요 뭘 해야될지 모르겠고 공부만 한다고 다 되는 게 아니잖아요 제 긴 글 읽어주신 분이 있으시다면 너무 감사드리고 혹시 저의 이런 학과, 진로 고민이나 인생에 있어서 조언을 해주실 수 있다면 마음껏 해주세요!!
읽으면서 마음이 정말 복잡하시겠다는 게 느껴졌어요.
“하고 싶은 일 vs 돈 되는 일”, “건축·무대미술 같은 창의 영역 vs 메디컬 같은 안정적 전문직”, 이 갈림길에서 고민하는 건 정말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지금 학창시절에 느끼는 불안과 후회도 너무 당연한 과정이구요.
1. “안정 vs 흥미”는 완전히 흑백논리가 아님
- 무대미술, 건축 = 창의와 흥미는 충족되지만 불확실성이 큼.
- 메디컬 = 안정적 수입은 확보되지만 긴 시간 투자와 희생이 필요.
실제 인생에서는 이 둘이 섞여 있습니다. 안정만 추구해도 번아웃이 오고, 흥미만 좇아도 현실적 벽에 부딪힙니다. 균형점을 찾는 게 핵심이에요.
- 건축학과가 지금은 침체라 해도, 도시재생·해외 유학·특수건축(전시장, 공연장) 같은 분야는 여전히 수요가 있습니다.
- 메디컬도 지금은 안정적으로 보여도, 의료 인력 증원, 인공지능 헬스케어, 대체산업이 커지면 경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어떤 길을 가도 ‘영원히 안전’은 없어요. 전망은 시대 따라 바뀌고, 결국 적응력이 중요합니다.
- 무대미술은 “짧고 강렬한 무대/세트”라는 제한된 환경에서 창의성을 폭발시키는 영역.
- 건축은 “사람이 사는 공간”이라는 실용성 중심에서 창의와 현실을 동시에 잡아야 하는 영역.
두 분야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공간을 디자인하는 창의성이 핵심입니다.
지금 생기부가 건축 쪽이라면, 학부는 건축으로 가되 무대미술/공연예술 디자인을 복수전공·부전공·대외 활동으로 이어갈 수도 있어요. (예: 건축 → 대학 공연동아리 무대팀, 졸업 후 대학원에서 무대미술로 전환)
- 내신이 1점대 초반이라 가능한 루트이긴 하죠. 하지만 단순히 “돈을 벌어야 하니까”라는 동기만으로는 긴 수련 과정(6~10년)을 버티기가 힘듭니다.
- 실제로 의대·치대·수의대 가서 “돈 벌려고 왔다가” 버티지 못하거나, 결국 좋아하지 않아도 억지로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만약 진짜 메디컬을 생각한다면, 최소한 “사람을 돌보는 일, 의료 지식 공부”에 흥미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왜 1학년 때부터 생기부를 메디컬로 안 썼을까” → 이미 지나간 것에 후회할 필요는 없어요.
- 학종이 아니더라도 정시, 교과, 다른 전형 등 선택지는 열려 있고, 인생은 대학 진학 이후에도 여러 번 갈림길이 있습니다.
- "나는 창의성 중심의 삶을 살고 싶은가?"
- "나는 안정·전문직 중심의 삶을 살고 싶은가?"
둘 중 하나에 확실히 기운다면, 나머지는 ‘보완’하는 방식으로 갈 수 있습니다.
예: 건축으로 가되 경제적 안정은 다른 자격증/투자/겸업으로, 메디컬로 가되 취미나 부전공으로 창의성 충족.
- 학부는 건축학과 → 대학원/해외유학에서 무대미술/아트디렉팅으로 전환 가능.
- 반대로 학부는 메디컬 → 나중에 문화예술 후원, 창작활동으로 흥미 보완도 가능.
- 건축캠프, 무대미술 관련 아르바이트·봉사, 의학 관련 체험 등 짧게라도 직접 경험을 해보세요.
- 지금 막연한 불안의 대부분은 “직접 경험이 부족해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는 10년 후 조금 덜 벌더라도 흥미 있는 일을 하고 싶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방향을 크게 정리해줄 거예요.
완벽히 안전한 길은 없고, 결국 “나의 적성과 버틸 힘”이 중요합니다.
현재 생기부가 건축 쪽이라면 건축으로 가되, 무대미술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게 합리적이고, 메디컬은 진짜 흥미가 없다면 “돈 때문에 억지로”는 위험합니다.
중요한 건 지금부터라도 체험 → 비교 → 자기 확신을 쌓는 과정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