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 캐나다 143편 불시착보잉 767기는 연료탑재정보시스템을 통해 급유 받는데 당시 해당 기체의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대신 연로계 측봉으로 직접 측정하여 급유를 마쳤는데 이게 문제였다 지상작업요원이 몬트리올에서 에드민턴으로 가는 연료량을 계산하던 중 파운드 단위와 SI단위를 헷갈린 것이다화성 기후 관측 위성 실종사건NASA는 SI 단위를 사용했지만 야드파운드 단위를 사용했기 때문에 실제 예상한 지점보다 더 낮은 고도에 진압하여 실종되었다공통된 까닭단위를 통일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도량형 역사 태양년 기준정의: 1900년 1월 0일 12시 기준으로 태양년의 1/31556925.9747을 1초로 정의한것 입니다한계: 태양을 도는 지구의 공전주기가 불변의 값이 아니며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천체를 오랜 시간 관측해야한다특정 원자 기준정의: 원자의 바닥상태에 있는 두개의 초미세전이에 대응하는 복사선의 9192631770주기의 지속시간을 1초로 정의하였다한계: 완벽히 통제할 수 없어 불가피하게 오차가 발생한다 미터원기 기준정의: 1889년에는 백금 이리듐 합금으로 제작된 "미터원기"가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한계: 물리적 원기는 시간에 지남에 따라 변형될 가능성이 있으며 보관과 복제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팽창이 수축될 수 있다특정 원자 기준정의: 전공에서 크립톤 원자 스펙트럼 중 등황색선 파장의 1650763.73 배를 1미터로 정의하였다.한계: 크립톤 램프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가 약해서 실제로 사용하기 어려움빛의 속도기준정의: 진공에서 빛이 1/299792458 초 동안 진행한 정도의 길이를 1미터 정의하였다한계: 초의 기준인 세슘원자의 봇사선 주기를 특정하는 과정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도량형이 중요한 까닭통일하지 않을 경우 경제활동을 포함하여 일상생활에서 서로 정확하게 소통하기 어려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과학기술: 측정도구의 정밀도가 증가하고 측정방법이 개선되었다 그 덕분에 명확한 기준을 쓸 수있다과학, 기술, 사회 관련성: 사회의 필요로 의해서 과학기술이 연구 되어지고 사회가 지원되기도 한다. 그래서 서로 다 연관성을 갖는다캘빈: 절대온도는 19세기 중반에 물리학자 월리엄 톰슨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그는 열역학의 법칙을 바탕으로 온도의 절대적 기준인 '켈빈'을 제안하였다. 켈빈 온도는 섭씨 온도에서 273.15를 더한 값 으로 정의되며, 0k 절대 영도,즉 모든 열 운동이 정지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절대온도는 열악학 적 계산과 과학적 연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현재 켈빈은 국제단위계에서 공식적인 온도 단위로 채택되었다.